간암은 전체 암 발생률 중에서 7.9%로 5위에 해당합니다.
간암은 병리학적으로 간세포암, 담관암, 혈관육종, 간아세포암 및 기타 육종 등으로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간암이라고 하면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간세포암을
말합니다. 간암 발생에 중요한 원인인자로는 B형 또는 C형 만성 바이러스 감염,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알콜성 간질환등이 있습니다.
현재 간암의 표준 치료법은 수술(간절제, 간이식), 간동맥 화학색전술, 경피적 에탄올 주입법, 고주파 열치료, 전신적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습니다.
수술의 경우는 간암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완치법이지만, 수술 가능한 경우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수술이 어려울 경우 간동맥 화학색전술이나 경피적 에탄올
주입법, 고주파 열치료 등을 시행하게 되는데 종양의 위치 및 개수, 크기에 따라 치료법이 선택됩니다.
전신적 항암치료의 경우 독소루비신이나 시스플라틴 등이 많이 쓰이게 됩니다. 그러나 전신적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의 경우, 위의 치료법들 보다 치료율이 낮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잘 선택되지 않고 위의 치료법들을 하기 어려운 경우 선택됩니다.